공인중개사살리기협회장 김경희 ㅣ헤드라인충청 최병옥 기자 |
최근 잇따른 대형 인명사고와 이재명 대통령의 ‘건설면허 취소‧공공입찰 금지’ 지시로 국내 건설업계 전체가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포스코이앤씨를 둘러싼 구조적 위기와 시장 불안 심리가 동시에 커지며, 영업실적 악화와 투자손실까지 겹쳐 ‘삼중고’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건설 산업에 직격탄을 날린 것은 지난 6일 대통령의 강경 발언이었다. 핵심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인명사고가 발생하자, 정부가 실제 면허 취소 등 강도 높은 제재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포스코이앤씨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업계에 보내는 일벌백계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현재 전국 주요 건설 현장 대부분이 긴급 안전점검 체제로 전환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미 업계는 고금리와 인력난, 원자재값 상승, 강화된 안전규제 등으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여기에 면허취소 가능성까지 떠오르면서 투자심리는 추가로 얼어붙었다. 실제로 포스코이앤씨의 장외주식 가격은 대통령 발언 직후 하루 만에 8% 넘게 급락하기도 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경기 침체 속에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 분위기”라고 현 상태를 전했다.
노동환경 위험성도 현재 건설산업의 구조적 한계로 지목된다. 현장 근로자 상당수가 50~60대 고령층이거나 외국인 노동자인 데다, 다단계 하청구조와 외부 변수 등으로 인해 완벽한 사고 예방은 어렵다는 지적이다. 일부에서는 “징계만 앞세우면 결국 인력 이탈과 공사 중단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여기에 최근 노동조합법 개정으로 원‧하청 간 집단 교섭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중소 건설업체들은 인력운용과 비용 측면에서 추가적인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협력사의 연쇄 도산 등 공급망 붕괴까지 예견되는 상황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실적 측면에서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영업이익이 급감하며 올해 상반기에는 적자 전환했다. 플랜트, 인프라 부문의 손실 누적과 주요 해외사업 부진 때문이라는 평가다. 실제로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10년 전 약 1조2천억원을 들여 투자한 포스코이앤씨의 지분 가치는 현재 2천억원대까지 떨어져, 사실상 ‘투자 실패’로 기록됐다.
경영 불확실성 증가, 매각설까지 급부상
당장 사업지속성에 대한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주요 주주인 PIF와의 관계 변화, 인수합병(M&A)설까지 거론하며 위기감이 팽배하다. IB업계에서는 “지나치게 보수적인 경영전략과 잇따른 리스크 관리 실패가 결국 오늘의 불황을 자초했다”며 “향후 핵심 주주들의 선택이 업계 판도를 좌우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결국, 근본적인 안전관리 강화와 제도 정비 없이는 정부의 초강경 조치 역시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한 대형사 관계자는 “업체 퇴출이나 사후 징계보다, 안전확보를 위한 구조적 개혁과 실질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국은행이 올해 국내 건설투자가 6% 넘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각종 리스크가 한꺼번에 커지며 업계 전반의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