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시사이슈

대전 선화주택조합 비대위, 조합 회생할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

조합장 ,난 횡령한적 없고 내 입장 반영하지 않은 기사에는 법적 대응하겠다.

대전 선화주택조합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오늘 오전 11시께 대전시청 북문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선화주택조합이 회생할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비대위는 긴급 호소문을 통해 현재 조합이 진행하던 아파트 건설 사업이 좌초 딜 위기에 놓였다라고 주장하며 모든 사태의 원인으로 ▲조합장의 독단적 운영 ▲전문성 없는 업무대행사의 무능 ▲불투명한 자금 집행을 꼽았다. 조합 규약상 조합장과 이사 1명에게 모든 권한이 집중돼 조합원들은 의사결정에서 철저히 배제됐으며 , 서울 소재의 업무대행사 ○○씨앤씨는 대전에 상주 인력조차 두지 않은 채 사업을 방치했다는 것이다.

특히 비대위는 조합이 3년 넘게 사업계획승인을 받지 못한 이유가 조합 집행부의 불통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대전시청이 토지 질권자들의 동의서를 요구했으나, 조합이 이를 무시하고 시청과 법리 논쟁을 벌이는 사이 연체이자만 눈덩이처럼 불어났다는 주장이다.

 

해당 사업 승인권을 갖고 있는 대전시청 관계자는 "대전시가 개입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며 조합과 비대위가 서로 소통하고 협력해서 문제를 잘 해결해 나가는 것 외에는 특별한 방법이 없는 것 같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에 대해 선화주택조합장 A씨는 본지 와의 통화에서 "비대위에서 마치 본인이 자금을 횡령한것처럼 주장하고 이를 헤드라인충청에서 확인도 안하고 기사를 썼는데 법적대응을 하겠다"라고 밝히고 대전시 승인이 무산된 이유에 대해서는 "그 이유가 너무 길어 전화상으로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일반조합원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는 기사를 따로 쓸테니 직접 인터뷰에 응해 달라고 요청하자 "오늘 오후 3시에 만나자고 약속했지만 10 여분 후 일정이 있다며 나중에 연락드리겠다"는 입장을 문자로 전해왔다.

 

한편 본지에서 기사가 나간후 일부 조합원들이 '조합원 입장은 반영하지 않은 기사'라는 항의성 메일을 보내옴에 따라 헤드라인충청은 추후 조합장 및 조합원들과 인터뷰를 진행해서 조합의 입장도 기사화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