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김태흠 지사, "충남-대전 행정통합, 연내 법안 통과 목표... 금산은 전원 도시로"

오늘(4일) 금산군 언론인 간담회... 행정통합 의지 재확인 및 지역 현안 답변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4일 오전 금산군 다락원에서 열린 언론인 간담회에서 충남-대전 행정통합 법안의 연내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또한 금산군을 대전의 배후 '전원 도시'로 육성하고 인삼약초 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구상을 밝혔으며, 저출생 문제, 인삼 엑스포, 남부출장소 이전 등 지역 현안에 대한 입장을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가장 큰 비중을 둔 현안은 충남-대전 행정통합이었다. 김 지사는 "어제(3일) 국회에서 세미나를 열었으며, 45명 가까운 의원들의 동의를 받아 법안이 제출된 상황"이라며 "연말, 늦어도 내년 2월까지는 법안이 통과되길 바란다"고 강한 의지를 보였다.

 

그는 "조선시대에도 8도였는데 지금 남한만 17개 시도로 쪼개져 행정 고비용이 엄청나다"며 "교통, 통신이 발달한 미래를 향해 행정 통합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합 시 발전 방향에 대해서는 ▲대전권(금산, 계룡, 논산, 공주) ▲북부권(천안, 아산, 당진, 서산) ▲내포권(청양, 부여 등) 3개 거점으로 나눠 발전시킬 구상을 밝혔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정치적 의도'에 대해 김 지사는 "통합되면 도지사직을 안 해도 좋다"고 일축하며 "미래를 보고 추진하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금산군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질문에 김 지사는 대전과의 연계를 핵심으로 꼽았다.

김 지사는 "금산은 대전의 배후 도시, '전원 도시'로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며 "대전 시민들이 주말에 쉴 수 있는 세컨하우스 등을 유치하고 대전과 함께 가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군 자체 재정 여건이 어려운 것을 안다"며 , 군이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 충남도가 재정적으로 돕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다양한 지역 현안에 대한 질의응답이 오갔다.

 

김 지사는 저출생 문제를 '재앙 수준'이라고 진단하며 "지난 18년간 380조 원을 쓰고도 효과를 못 봤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국가가 아이를 낳으면 성인이 될 때까지 책임진다는 모토 하에 정책이 나와야 한다"며, 충남도의 핵심 정책으로 '24시간 돌봄 시설' 등 돌봄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

 

인삼 엑스포의 지속 개최 여부에 대해 김 지사는 "월드컵처럼 정기적으로 열려야 한다"고 답했다. 그는 "중앙정부가 3회 이상 지원을 안 하는 규정이 있지만, 2030년 이후 엑스포를 위해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며 "만약 (국비 지원이) 안 되더라도 충남도와 금산군이 자체적으로 추진할 의지가 강하다"고 밝혔다.

 

진산면에 위치한 남부출장소의 비효율성 지적에 대해 김 지사는 "금산, 논산, 계룡의 접근성을 고려해 진산에 뒀으나, 교통이 편리하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을 인정한다"며 "개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 지사는 "인삼은 약재뿐 아니라 화장품, 건강식품으로 다양화되고 있다"며 "해외 수출 상담회 등에 금산의 너덧 개 기업을 포함해 도내 중소기업들을 데리고 나가 7억 달러(약 1조 원) 가까운 수출 계약을 했다"고 성과를 설명했다.

 

김 지사는 마무리 발언에서 "4년 계약직 공무원으로서 남은 기간 흔들림 없이 최선을 다하겠다"며 "선거가 가까워지면서 여러 얘기가 나오지만 좌고우면하지 않고 도민을 위해 뚜벅뚜벅 걸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