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소방서가 아파트 화재 시 입주민에 대한 피난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아파트 화재 피난안전대책’을 추진한다. 세종소방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8~2022년)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모두 87건이다. 이 화재로 4명 사망, 50명 부상 등 총 54건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공동주택 화재는 같은 기간 전체 화재의 16.6%를 차지했고 사상자 비율은 77.1%로 다른 화재 원인과 비교해 월등히 높았다. 세종시 아파트 주거 비율은 2021년 기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 우려가 큰 상황이다. 세종소방서는 이번 안전대책 마련을 통해 화재에 따른 인명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은 ▲대피공간, 경량칸막이, 옥상 출입문 등 피난시설에 대한 안내 및 사용법 교육 ▲옥상 대피로 안내표지 설치 지원 ▲소방차 전용구역 확보 ▲소방시설 유지 관리 현장 안전점검 등이다. 특히 스프링클러 미설치 노후 아파트 4곳(금남면·장군면 각 2곳), 30층 이상 고층아파트 25개 단지를 대상으로 화재상황을 가정한 인명구조 중심 훈련과 전기차 화재대응장비 활용 훈련을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자율안전관리 및 안전문화확산을 위해 ‘아파트
세종시 장거래 소방본부장은 18일 시청 정음실에서 언론브리핑을 개최하고, 2024년도 소방본부 주요업무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장 본부장은 “지난해 성과는 화재로 인한 인명·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위험 대상에 대한 안전관리 네트워크를 구축했고, 주택용 소방시설 보급을 확대했다”라며,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기 위해 특별구급대를 확대 운영했는데 현장 대원들의 땀과 노력으로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심정지 환자 소생률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세종시 소방본부의 2024년 주요업무계획으로 ▲ 현장 중심 예방행정 추진 ▲ 대형복합재난 대비 대응체계 구축 ▲ 시민 맞춤형 구조·구급서비스 제공 ▲ 현장활동 지원기반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장 중심 예방행정 추진과 관련해 화재위험 대상물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예방대책으로 중점·특별관리대상에 대해 대상별 합동소방훈련·유관기관 합동 화재안전조사 등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요양병원·전통시장 등 다수 인명피해 우려 대상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단지·공장·창고 등 소방시
세종소방서에 화재가 발생해 고가의 소방차량을 새로 구입했지만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교육안전위원회 김효숙 위원(더불어민주당, 나성동)은 18일 세종시소방본부를 대상으로 한 2023년도 제2회 추경예산심의에서 ‘소방장비 관리 소홀’에 대해 강하게 질타했다. 김 의원은 “최근 세종소방본부 마크가 찍혀있는 몽골텐트가 한 개인주택에서 버젓이 사용되고 있다는 시민의 제보가 들어왔다. 이에 자료를 요청해 조사한 결과, 내용연수도 도래하지 않는 소방서의 자산성 물품을 소방관계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했음이 확인됐고, 이후 반납한 사례가 있었다”고 밝혔다. 세종소방본부 소방행정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4월경 불용 및 폐기 처리가 필요한 물품에 대한 소요조사가 실시됐다. 해당 조사에서 2015년에 구입한 몽골텐트(약 170만원)가 한솔119지역대 청사누수로 오염되었다는 등의 이유로 담당자가 폐자재 등 소모품으로 오인‧혼동해 단순 폐기를 결정한 사실이 드러났다. 문제는 주민센터가 폐기물을 수거하기 전에 소방관계자가 몽골텐트를 임의로 가져가 개인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또한 고가의 소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