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가 지난 19일 닥친 기록적인 폭우로 2,430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피해를 입은 가운데, 김태흠 지사가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더불어 정부에 추가적인 지원을 요청하며 피해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충남도에 따르면, 이번 폭우로 인한 총 피해액은 공공시설 1,796억 원, 사유시설 634억 원을 합쳐 2,430억 원에 달한다. 특히 농업 분야 피해가 심각해 13개 시군에서 677.2ha의 농경지가 침수·매몰되었으며, 농작물 2,370억 원, 가축 770억 원 등 총 3,140억 원의 손실이 추정된다. 수산물 분야에서도 510억 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태흠 지사는 22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9일 이뤄진 폭우 피해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했다. 그는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에도 불구하고 피해 규모가 커 미흡한 부분이 많다"며, 충남도가 이미 특별 지원을 통해 복구비 24억 3천만 원을 긴급 편성했음을 밝혔다. 또한, 기존 정부 지원금 2,400억 원 외에 부족한 1,680억 원의 추가 지원을 정부에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피해주민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다. 농작물 및 가축 재해 보험 가입 농가에 대해 내년도 보험료 50%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매몰 농작물 등에 30%를 추가 지원(최대 5억 원)한다.
침수 및 파손된 수산물 등은 100% 매입 지원하며, 사회복지시설 피해(336곳)에는 3억 원을 추가 지원해 총 9억 원까지 지원한다. 아울러 피해주민들에게는 최대 3억 원 한도로 연 1.5%의 저금리 융자를 지원할 방침이다.
현재까지 응급 복구는 총 2,408건 중 1,546건(62.2%)이 완료되었으며, 도는 이번 주 내로 복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매년 반복되는 피해에 대한 사후약방문식 대응이 아니라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우수 저류 시설, 배수 펌프장 확충, 하천 설계 기준 상향 등 재해 예방 및 복구 지원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정부에 건의할 방침임을 강조했다. 그는 "과거 50년~100년 빈도로 설계된 하천과 배수 시설로는 현 상황에서 침수를 막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매년 정부 지원에서 부족한 부분은 도가 추가로 지원해 왔지만 이제는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정부와 협의해 피해 예방 및 복구 지원 등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