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선화지역주택조합 사업이 조합 집행부의 무능과 독단적 운영으로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합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21일 호소문을 통해 "조합장과 업무대행사의 독재로 3,000억 원 규모의 사업이 파산 직전에 놓였다"며 조합 집행부의 즉각적인 퇴진과 1,523억 원에 달하는 자금의 투명한 공개를 촉구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2021년 6월 창립총회를 연 선화지주택은 491명의 조합원으로부터 계약금 422억 원을 모았고, 이후 개인 신용대출과 자납 등을 통해 약 660억 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그러나 이 막대한 자금은 토지비로 사용되지 않은 채 사라졌다고 비대위는 주장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사업 추진을 위해 대주단으로부터 빌린 브릿지 대출 원금 560억 원은 상환되지 못했고, 연체이자가 114억 원까지 불어났다. 결국 지난 3월 대주단은 채무불이행(EOD)을 통보했고, 6월 17일 대전지방법원은 사업 부지에 대한 경매 절차를 개시했다.
비대위는 이 모든 사태의 원인으로 ▲조합장의 독단적 운영 ▲전문성 없는 업무대행사의 무능 ▲불투명한 자금 집행을 꼽았다. 조합 규약상 조합장과 이사 1명에게 모든 권한이 집중돼 조합원들은 의사결정에서 철저히 배제됐으며 , 서울 소재의 업무대행사 ○○씨앤씨는 대전에 상주 인력조차 두지 않은 채 사업을 방치했다는 것이다.
특히 비대위는 조합이 3년 넘게 사업계획승인을 받지 못한 이유가 조합 집행부의 불통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대전시청이 토지 질권자들의 동의서를 요구했으나, 조합이 이를 무시하고 시청과 법리 논쟁을 벌이는 사이 연체이자만 눈덩이처럼 불어났다는 주장이다.
조합이 2024년 2월 D건설과 체결한 MOU 역시 조합원에게 불리한 독소조항으로 가득 차 있다고 비대위는 밝혔다. 해당 MOU에 따르면 조합원 분양가가 일반 분양가보다 1억 원 이상 비싸게 책정됐으며 , 시공사가 임의로 할인 분양을 할 수 있는 조항도 포함됐다.
비대위는 "조합장이 D건설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것처럼 허위 사실을 알리며 조합원들을 기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비대위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강력히 요구했다. 조합장, 임원진 및 업무대행사 즉각 총사퇴, 총 1,523억 원의 자금 흐름 투명 공개, D건설과의 불공정 MOU 전면 재검토,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관리·감독 제도 마련, 또한, 조합 설립 인가 당시 최종 승인권자였던 박용갑 국회의원(전 중구청장)에게 "책임 있는 조치와 관심을 통해 조합이 회생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수년간 내 집 마련의 꿈을 안고 거액을 쏟아부은 조합원들은 이제 원금 손실은 물론, 수천만 원의 추가 부채까지 떠안을 수 있다는 공포에 떨고 있다. '지옥주택'으로 변해버린 현장에서 조합원들의 피맺힌 절규가 커지고 있다.